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97

[전기공사기사] 접지관련 단답 정리 (비접지/직접접지/유효접지계/접지목적)

1. 송전선로에서 사용되는 접지 방식 (12,16년) 1) 1선 지락 고장시 충전전류에 의해 간헐적인 아크 지락을 일으켜서 이상전압이 발생하므로, 고전압 송전선로에서 사용되지 않는 접지방식 : 비접지방식 2) 1선지락시 건전상의 전위상승이 높지 않아 유효접지의 대표적인 방식으로 초고압 송전선로에서 경제성이 매우 우수하여 우리나라 송전계통에 사용되고 있는 접지방식 : 직접접지방식 2. 유효접지계 "발전기 또는 변압기 등 전력계통의 중성점을 접지시키는 것으로 전력계통에 설치한 보호계전기로 하여금 고장점을 판별시킬 목적으로 접지를 하며, 1선지락 시 건전상의 전압상승이 선간전압보다 낮은 80% 이하의 계통으로 직접접지계통이 이예 속한다" : 유효접지계 3. 접지의 목적 (08, 14년) - 접지의 목적 3가지..

카테고리 없음 2021.11.06

[전기기사/전기공사기사] 변압기 병렬 운전조건, 전동기 병렬 운전조건 정리

전기공사기사 단답 암기중에, 비슷비슷하면서도 다른 느낌이라 병렬운전에서 자주나오는 변압기 병렬운전조건 / 전동기 병렬운전조건에 대해 정리하였음. 특히나 수험서에보면 크위주파 등 두문자만 따서 가볍게 암기하고 넘어가는데, 가급적 조건 미달성 시 부작용에 대해서도 공부해두는게 좋다. 1. 변압기의 병렬 운전 조건 병렬운전조건 조건이 맞지 않는 경우 극성이 일치할 것 큰 순환전류가 흘러 권선 소손 1, 2차 정격전압 및 권수비 같을 것(용량, 출력무관) 순환전류가 흘러 권선 가열 %강하(임피던스 전압)가 같을 것 부하의 분담이 용량의 비가 되지 않아 부하의 부담이 불균형이됨 내부저항과 누설리액턴스의 비가 같을 것 각 변압기 전류 간 위상차가 생겨서 동손 증가 상회전 방향과 각 변위가 같을 것 (3상의 경우) ..

[전기공사기사] 변압기 내부고장 보호장치

변압기의 내부고장 보호장치는 크게 전기적인 보호방식과, 기계적 보호방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음 1. 전기적인 보호방식 - 차동계전기 (단상) - 비율차동계전기 (3상, 87T) 1) CT결선 : 변압기는 1차 2차측의 결선이 위상차가 생기므로 변류기 2차측 전류의 위상차가 없도록 변압기가 △결선인 곳은 Y결선으로, Y결선은 △결선으로 한다. 2) 보조변류기(CCT) : 변압기에서는 1차 및 2차 CT의 변류비가 다름, 따라서 CT 2차 측의 전류를 정확히 일치시킬 수가 없으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해 CCT를 사용한다. 2. 기계적 보호방식 : 기구번호로 96을 쓰고 뒤에 문자 추가하여 명칭 부여 부흐홀쯔 계전기 96B (가스검출 계전기 96G) : 변압기 내부에서 이상현상이 발생하면, 반드시 열발생을 수반..

[전기공사기사/전기기사] 조명 계산 유형 정리 (실지수, 조명계산,공간비율)

조명 문제를 보다가 흔히 아는 FUN=EAD 공식, 실지수 공식으로 푸는 문제 외에 최근에 공간비율 CR을 물어보는 문제가 출제된 내용이 있어서, 관련 기출을 찾아보고 종합적으로 내용을 정리하였음! 1. 실지수(K) 계산문제 K = H* XY/(X+Y) // 계산값을 그대로 쓰는 것이 아니라, 계산값을 가지고 실지수 표에서의 주요 실지수를 기입! H: 등의높이 - 작업면 높이 (m) X: 방의가로(m) / Y :방의 세로(m) 주요 실지수 : 0.8 1.0 1.25 1.5 2.0 2.5 3.0 4.0 5.0 사실 실지수는 계산 자체는 어렵지 않으나, 실지수 표를 외워냐하나 라는 고민을 만드는 문제가 많이 출제됨. 그냥 닥치고 외우자! 참고로 실지수 암기에 관한 사항은 유튜브에 많이 나와있으니 검색해서 한..

[전기공사기사] 전력용 개폐장치

전기공사기사 기출을 분석하던중 LBS (Load Breaker Switch)의 명칭과 기능을 묻는 문제가 두세번 정도 출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전력용 개폐장치는 별도로 정리해두는 것이 좋을 것 같아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다. 명칭 특징 단로기 전로의 접속을 바꾸거나 끊는 목적으로 사용 전류의 차단능력은 없음 무전류 상태에서 전로 개폐 변압기, 차단기 등의 보수점검을 위한 회로 분리용 및 전력계통 변환을 위한 회로분리용으로 사용 부하개폐기 평상시 부하전류의 개폐는 가능하나, 이상 시 (과부하, 단락) 보호 기능은 없음 개폐 빈도가 적은 부하의 개폐용 스위치로 사용 전력 Fuse와 사용 시 결상방지 목적으로 사용 전자접촉기 평상시 부하전류 혹은 과부하 전류까지 안전하게 개폐 부하의 개폐, 제어가 주목적이고, ..

[전기공사기사] 전기설비 검사 항목처리 지침서 검사항목 7가지

전기공사기사 실기에서는 종종 나오는 단답 유형이나, 실무에서 정말 많이 접하게 되는 내용이므로, 알아두는게 좋다. 1. 외관 검사 2. 접지저항 측정 3. 계측장치 설치 상태 4. 보호장치 설치 및 동작상태 5. 절연유 내압 및 산가 측정 6. 절연 내력 시험 7. 절연저항 측정 -> 기본적으로, 전기설비에 대해 정기검사/사용전검사 시 정말 자주 언급되는 내용이다. 외관이나, 계측장치 설치 상태는 보통 육안점검 혹은 기능 점검으로 가볍게 수행하며, 4. 보호장치 설치 및 동작상태는 계전기 Test 기로 정확한 값이 들어가는지, 제때 Pick up을 수행하는지 점검 한다. 5. 절연유 내압 및 산가 측정의 경우, 유입변압기의 경우 적용되는 항목이다. 몰드형은 적용 X

[전기공사기사] 후강/박강 전선관 규격 및 전선 규격 정리

종종 나오는 문제 유형이나, 헷갈리니 여기에 정리해 둔다. 우선 전선관과 전선을 구분하고, 그 규격의 차이에 대해 정리해두는게 좋다. [참고] 1. 후강전선관규격, 2. 박강 전선관 규격의 경우 단순 수치 암기 여부를 묻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출제되고 있으며, 3. KSC-IEC 전선 규격의 경우, 수용가의 부하전력, 역률, 긍장 등을 제시 후 계산된 값보다 더 큰 규격을 답해야 하는 문제로 많이 출제되고 있음. 꼭 암기해야할 파트임. 1. 후강 전선관 규격 (근사내경, 짝수) - 16 / 22 / 28 / 36 / 42 / 54 / 70 / 82 / 92 / 104 2. 박강 전선관 규격 (근사외경, 홀수) - 19 / 25 / 31 / 39 / 51 / 63 / 75 - 기타 : 나사없는 전선관의 경우..

[전기공사기사] 2011년 1회 기출 단답 암기사항

1.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지선을 설치 시 고려하여야할 사항 3가지 - 지선의 안전율은 2.5 이상으로 할 것 - 지선에 연선을 사용할 경우에는 소선 3가닥 이상의 연선일 것 - 지선근가는 지선의 인장하중에 충분히 견디도록 시설할 것 2. 직류 송전방식의 장점 3가지 - 절연계급을 낮출 수 있음 - 무효전력으로 인한 손실이 없고, 역률이 항상1이므로 송전 효율이 좋음 - 선로의 리액턴스가 없으므로 안정도가 높음 3. 태양광발전 방식 장점 5가지 (범위가 되게 넓고 끄덕여지는 것들이 대부분이다보니, 제대로 안보게되는데 시험장에서 막상 쓰려면, 5가지를 모두 생각해내기 어려움, 주요 키워드 위주로 암기) - 자원이 반 영구적이다 - 친환경 에너지임 - 규모에 관계없이 발전 효율이 일정함 - 확산광(산란광)도..

[남양주 수석동] 분위기가 끝내주는 한강 ㅊa(차) 카페 방문후기

안녕하세요, 유생입니다. 주말에 부모님, 그리고 여자친구와 함께 근교 드라이브를 다녀왔습니다. 수석한강공원과 인접해 있고, 공영주차장이 있으므로 주차 시키기도 좋았습니다. 근처에 음식점들이 같이 있으므로 주차 시 참고하시면 됩니다. (주차장 : 1시간 무료, 이후 10분당 200원) 카페 건물 및 마당 전경 :: 상당히 탁 트인 느낌이라 좋았고, 정원에 있는 야외 테라스(특히 한강쪽 테라스)는 다음에 사람없을 때 꼭 한번 앉아보고 싶었습니다. [카페 내부 :: 1층] 밝은 뷰... 그리고 카운터가 눈에 띕니다. 빵들이 정말 맛있게 진열되어있었습니다. 원래 이 집은 달고나 커피, 달고나 스콘이 유명하다고 하네요. 음료를 주문하고 기다리다보니, 직원분이 달고나를 직접 만드는 장면도 인상적이었습니다. [커피 ..

일상/맛집탐방 2021.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