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하게 현재 연료전지 사업을 보면서 느끼는 점을 정리해두었습니다.
연료전지로써 가지는 장점도 분명히 있지만,
(소음이 적다, REC 2.0으로 Full 가동하면 어느정도 경제성이 나온다 등)
설치를 추진하는 주체를 보면 주로 지자체, 한전발전자회사(GENCO) 주도하에 설치하는 곳이 대부분이라, 민간에서는 외면 받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매력없는 이유에 대해 분석해보았습니다.
※ 기사를 보고 정리한 개인적인 의견임을 서두에 밝혀둡니다.
1. 연료전지는 수소가 필요, 수소를 얻기위해 LNG를 개질함
발전부분인 Stack 에서 산소와 수소를 반응시켜 전기를 생산하므로, 수소는 주 재료입니다. 수소를 얻기 위해 LNG 연료 개질방식을 택하고 있는데,
LNG --> 개질 --> H2 --> 발전 효율을 고려 시, 결코 높은 효율이 아닙니다.
(LNG 발전소 입장) : 아니 그럴거면 나처럼 그냥 LNG 가스 터빈으로 바로 발전하지.. 왜 굳이 개질단계를 거치는거임? 이라는 의문이 드네요. 그래서 투자비를 비교한 부분을 찾아봤습니다.
동탄 연료전지 발전소 관련 기사에서 언급된 투자비 ::
지역난방공사는 이 연료전지 발전소를 짓는데 총 550억원을 투입했다.
지역난방공사 관계자는 "초기 투자비용이 1MW당 5억원 안팎이라고 보면 된다"며 "열병합 발전소 대비 7배가량 비싸다"고 말했다. (기사)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11257298
2. 장기계약 문제 (LTSA)
![](https://blog.kakaocdn.net/dn/Axl4g/btqCrOQXmlW/KRxV3IU0bsbuUHI909ZBvk/img.png)
Long Term Service Agreement로서, 연료전지 자체의 유지보수를 장기적으로 계약하는 것입니다.
가동률/설비운전보증, 예방 정비, 모니터링 등을 가지고 계약을 하는데, 아무래도 장기계약이니 추후 문제가 됩니다.
초기 연료전지 수주업체는, PJT 수주를 위해 이 비용을 최대한 발주자의 입장에서 경제적으로 계약을 진행합니다.
준공 이후 사업 운영단계로 접어들면, 연료전지 수주사 입장에서는 여기서 오는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LTSA에 나오는 보장 내용보다 비용이 더 많으면 손해니까요. 고장이 안나야합니다.)
이는 다음 기사에서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15437
수소연료전지 LTSA 2배↑…연료전지산업 흔들 -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 이투뉴스
[이투뉴스] 발전용 수소연료전지 유지보수비용(LTSA)이 2배나 올라 비용부담이 커진 발전사업자들의 연료전지 가동이 중단되는 등 국내 수소연료전지산업이 흔들려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내 발전용 연료...
www.e2news.com
연료전지의 핵심은 Stack 입니다.
개질된 수소를 가지고, 산소와 반응시켜 DC 전원을 만들어내는데, 이 Stack 의 품질의 완결성이 떨어지면
장기적으로 교체 비용이 증가하겠죠?
결국 아래 처럼 Stack 결함 이슈등이 발생했을 때, LTSA로 묶여있는 수주사에선 이를 감당하지 못하는 지경에 까지 이르게 되는 것입니다. 운영사에서도 불안한건 마찬가지죠. 자주 고장이나서 멈추게 되는데, 사업성도 떨어지고요.
국내 최대규모인 한 연료전지 사업장의 LTSA 재계약 Issue 문제에서, 많은 사업자들이 연료전지의 이러한 한계에 인식하게 되었고,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습니다.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9/09/2019090901861.html
포스코에너지, ‘만성적자’ 연료전지사업 분리…재기 가능할까
포스코에너지가 ‘만성적자’인 연료전지 사업부문을 떼어내 연료전지 전문 회사를 설립한다. 신(新)성장동력으로 키우기 시작한 연료전지 사업의 실적이..
biz.chosun.com
번외)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 현정부가 밀고 있는, 수소경제로드맵 등 이건 별도의 Issue 으로, 추후 다뤄보고자 합니다.
'Energy Solutions & Renewabl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MP 상한제 도입에 따른 전력시장 운영규칙 개정 (0) | 2023.01.16 |
---|---|
최근 전기차 화재 사례 및 발생 원인, 소화 방법 (0) | 2023.01.12 |
전기협회 ESS 전기저장장치 정보시스템을 알아보자(1) - Check list 기능 알아보기 (0) | 2021.01.04 |